반도체 전공정 기본

반도체 공정 - (3) - 2 포토 공정(장비, Parameters)

sonsw1022 2024. 7. 8. 19:05

공정 장비

Mask

Photomask: 석영(빛 투과 area) 기판 위에 크롬(빛 차단 area) 막을 증착해 제작

                    조건 -> 낮은 열팽창계수, 높은 석영 투과율, 높은 크롬 차단율

Mask vs Reticle: Mask는 하나의 석영 기판에 1개의 패턴, Reticle은 4개의 패턴 존재, 최근에는 잘 구분하지 않음

                           -> Reticle은 크기를 4배 키우면서 particle에 의한 defect를 1/4로 줄임

                                      또한, 크게 만드므로 단가, 난이도 감소

Mask & Reticle

 

Track & Stepper

Track(in-line): vapor prime, resist coat, develop, bake와 같은 공정을 하나의 장비에서 모두 진행

Stepper(Scanner): Track에서 transfer station을 통해 wafer를 받아 Alignment와 Exposure 진행

 => wafer의 동선을 줄여 생산성 증가

 

Stepper vs Scanner

  Stepper Scanner
노광방법 고정하여 노광
다음 위치로 이동 후 노광 반복
이동하며 노광
Reticle과 Wafer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Scan
특징 1. Step & Repeat
2. 단일 샷 -> 큰 렌즈 필요
1. Scan & Repeat
2. 연속된 샷 -> 작은 렌즈 가능

Stepper & Scanner

 

Exposure type

  Contact Aligner Proximity Aligner Projection Aligner
Figure
방식 PR과 마스크를 붙인 후 노광 PR과 마스크 사이에 공간을 약간 두고 노광 PR과 마스크 사이에 렌즈를 넣어 회절된 빛을 모아 노광
특징 PR과 마스크가 직접적으로 붙었다 떨어지기를 반복하기 때문에 마스크 교체를 자주 해야하고 Defect 발생 PR과 마스크 사이에 공간이 있으므로 회절이 발생해 정확한 패턴 구현 불가능 마스크 교체 주기도 길고 회절을 최소화 시켜 정확한 패턴 구현 가능 => 주로 사용

 

Antireflective Coating(ARC)

ARC: 노광 공정 시 반사파로 인해 원치 않는 노광과 정상파 발생 방지

          빛을 잘 흡수해야하며, 노광 공정 이후에 제거가 용이해야함

          Bottom ARC -> substrate reflection 방지

          Top ARC -> secondory reflection 방지

Bottom ARC

Pellicle

Pellicle: 포토 마스크에 씌워져 오염물질로 부터 방어하는 역할, 높은 투과율 필요

              -> 포토 마스크 수명 증가, Defect 감소

공정 Parameters

Resolution & DOF

NA(Numerical Aperture): 렌즈가 클 수록 NA 값 증가 및 회절된 빛을 더 잘 모음

                                         NA=렌즈 반지름/초점거리

Numerical Aperture

 

CD(Critical Dimension): 최소 선폭

 

λ가 작고 NA가 클수록 더 작은 CD 구현 가능

-> 미세 선폭 구현 가능

 

 

 

 

 

 

Resolution: 주변 패턴과 구분가능한 최소 dimension of linewidth => 값이 작을 수록 좋음

 

Better Resolution: λ 감소 -> 더 짧은 파장의 광원 사용

                              NA 증가 -> 더 크고 성능이 좋은 렌즈 사용

                              k1 감소 -> 공정 또는 PR 개발

Resolution: DUV vs EUV

 

DOF(Depth Of Focus): 초점심도로, 초점을 맞출 수 있는 범위 => 값이 클 수록 초점 허용범위가 넓어지므로 좋음

Depth of Focus, DOF

 

λ증가, NA감소, k2 증가할 수록 DOF 증가

=> Resolution 식과 유사 but, 성능 면에서 Resolution과 DOF는 반비례

 

반도체 산업에서는 더 작은 선폭을 만들어야 하므로, Resolution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기술 발전

DOF도 같이 증가되지만 CMP를 통해 표면을 굉장히 flat하게 만들어 초점을 정교하게 맞추며 issue해결

 

Overlay

Overlay: Mask와 wafer의 수평 및 수직 방향 정렬도를 나타내는 수치

Errors: Shift or Translation, Wafer magnification or scale, Rotation, Shot magnification

Aspect Ratio & Step coverage (PR)

Aspect Ratio: 구조물의 너비 대비 깊이를 나타내는 지표 -> 높을 수록 고도의 기술력 요구

Aspect Ratio

Step coverage: 단차 피복으로, 위치에 따른 두께차이를 나타내는 척도(옆면과 밑면)

Step coverage